
신장 질환, 세계 사망 원인 9위…조기 관리가 생명을 지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신장 질환은 현재 세계 사망 원인 9위에 올라 있습니다. 단순히 다른 질환의 합병증이 아니라 독립적인 사망 원인으로 자리 잡았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지난 78차 세계보건총회(WHA78)에서 채택된 **‘신장 건강 결의안’**은 신장 질환이 얼마나 심각한 글로벌 보건 과제인지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국제질병부담연구(2021)에 따르면 전 세계 약 6억 7400만 명이 만성콩팥병을 앓고 있으며, 고령화와 함께 고혈압·당뇨병 확산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말기까지 진행되면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불가피한데, 이는 환자와 가족에게 큰 경제적·심리적 부담을 줍니다.
https://youtu.be/TPuIIpJ0-gI

한국, 만성콩팥병 환자 급증
우리나라 역시 상황이 심각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만성콩팥병 환자는 2020년 25만 9116명에서 2023년 34만 6518명으로 33.7%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혈액투석 환자도 7만 4638명에서 8만 8363명으로 늘었습니다.
특히 남성 환자가 여성보다 1.6배 많았고, 말기신부전 환자의 5년 생존율은 62%에 불과해 암 환자보다 낮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신장 질환이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 병이라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침묵의 살인자’ 만성콩팥병
만성콩팥병은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침묵의 살인자’**라 불립니다. 실제로 자신이 신장 질환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전체 환자의 10% 정도에 불과합니다.
증상이 나타난 뒤에는 이미 신장 기능이 크게 손상된 경우가 많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식욕 감퇴 ▲구토 및 구역질 ▲거품이 심한 소변 ▲부종(붓기) 등이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투석이나 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유명인의 사례에서 배우는 교훈
신장 질환은 세계적인 스타나 정치인도 피해가지 못했습니다. 미국 가수 티나 터너는 고혈압을 방치하다가 뇌졸중을 겪은 후 신장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되었습니다. 결국 투석과 남편의 신장이식을 받았지만, 2023년 8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한국의 김대중 전 대통령 역시 오랫동안 만성콩팥병으로 고생했으며, 당뇨병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신장 질환이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하다
대한신장학회는 조기 검진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건강검진 결과지의 사구체여과율(GFR) 지수를 주의 깊게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90점 이상: 정상
 - 60~89점: 기능 다소 저하
 - 30~59점: 만성콩팥병 단계
 - 60점 이하: 반드시 신장 전문의 진료 필요
 
또한 단백뇨가 발견되면 신장 염증 가능성이 있어 반드시 2차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만성콩팥병은 왜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리나요?
A.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어 환자 스스로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이미 신장 손상이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Q2. 신장 질환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 고령화, 고혈압, 당뇨병이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생활습관과 만성질환 관리가 핵심입니다.
Q3. 신장 기능 검사는 어떻게 하나요?
A. 건강검진에서 측정하는 **사구체여과율(GFR)**과 단백뇨 검사를 통해 조기 발견이 가능합니다.
Q4. 말기신부전까지 진행되면 어떤 치료가 필요한가요?
A. 투석(혈액투석·복막투석) 또는 신장이식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환자와 가족에게 큰 비용 부담이 따릅니다.
Q5. 신장 질환 예방을 위해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A. 규칙적인 검진, 저염식 식단, 적정 체중 유지, 혈압·혈당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WHO와 국내 전문가들의 제언
WHO는 각국이 법·제도적 기반 마련, 보건 체계 준비, 지속가능한 재정 확보, 지역사회 교육을 통해 만성콩팥병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대한신장학회 역시 환자 등록제를 포함한 ‘만성신장병관리법(가칭)’ 제정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극적 관리가 신장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