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style

한국 빵값, OECD 평균보다 비싼 이유|과점 구조가 만든 현실

by essay6316 2025. 10. 13.
728x90
반응형

🍞 빵값은 오르는데 동네 빵집은 줄어드는 이유|과점 구조가 만든 가격의 역설

우리나라의 빵값 상승은 단순한 국제 원자재 가격 때문만이 아닙니다.
공주대 산학협력단의 분석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미국, 일본, 프랑스를 모두 웃돌았습니다.
100g당 평균 가격이 한국 703원으로, 프랑스(609원), 미국(588원)보다 비싼 셈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역설적입니다. 빵값은 오르는데, 동네 빵집은 사라지고 있습니다.
2024년 상반기 기준 하루 평균 10곳의 제과점이 문을 닫았으며, 폐업률은 18.5%까지 치솟았습니다.
이익은 줄고, 경쟁은 심해지는데 빵값만 오르는 현상은 과연 어디서 비롯된 걸까요?


📈 5년간 연평균 6.73% 오른 빵값, 구조적 원인은?

빵값은 지난 5년간 연평균 6.73% 상승했습니다.
그 이유의 핵심은 원재료 수입 의존도에 있습니다. 밀가루, 설탕, 버터, 견과류, 올리브유 등 핵심 원재료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어, 국제 시세 변동이 즉각 반영됩니다.
특히 원재료비 중 70% 이상을 차지하는 밀가루와 설탕의 가격은 각각 연평균 6~8% 상승했습니다.

여기에 한국 소비자들의 디저트 중심의 빵 문화도 한몫합니다.
우유와 버터가 많이 들어간 고급형 빵을 선호하고, 소금빵조차 앙버터나 초콜릿 등 다양한 토핑으로 변형돼 판매되죠.
결국 빵값 상승은 소비자 기호 변화와 프리미엄화 트렌드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이기도 합니다.


🧈 인건비·판매관리비 부담이 만든 가격 구조

동네 빵집뿐 아니라 대형 프랜차이즈조차 수익 구조가 악화되고 있습니다.
제과 전문점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6.3%로, 치킨집(9.5%)이나 커피 전문점(7.2%)보다 낮습니다.
프랜차이즈 본사의 경우에도 파리크라상은 1.16%, CJ푸드빌(뚜레쥬르)은 4% 수준에 그칩니다.

그 이유는 인건비와 판매관리비 부담 때문입니다.
빵 한 개 가격에서 인건비 비중은 무려 28.7%, 판매관리비는 42.4%에 달합니다.
재료비보다 인건비와 관리비가 더 큰 구조에서는, 원가 절감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 식료품 물가, OECD 평균보다 56% 비싼 현실

식료품 물가 또한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입니다.
OECD 평균 대비 56%나 비싸며, 특히 과일·채소·육류 등은 평균의 1.5배 수준입니다.
이처럼 높은 식료품 가격은 농업 생산성이 낮고 시장 개방이 제한적이라는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됩니다.

국내 달걀과 우유 가격은 생산 단가가 높고, 정부의 가격 규제 아래에서 움직입니다.
시장 기능이 자유롭게 작동하지 않다 보니 효율성은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빵 제조비용에도 부담이 전가됩니다.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개입하지만, 지나친 보호정책이 오히려 빵값 상승을 부추기는 셈입니다.


https://youtu.be/-fHwK-tfEQo

 

⚖️ 과점 구조가 만든 가격의 역설

국내 제빵 시장은 사실상 두 대형 프랜차이즈가 과점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원재료 공급 역시 소수 대기업이 장악해, 자유경쟁 구조가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가격은 시장 수요가 아닌 ‘체계화된 비용 구조’로 결정되는 경향이 강하죠.

한 경제 유튜버가 990원짜리 소금빵을 선보이며 화제가 됐지만, 이는 일시적 이벤트에 불과합니다.
진정한 해결책은 시장 개방과 경쟁 촉진, 그리고 유통구조 개선입니다.
정부의 ‘보호’보다 ‘자율’이 강화될 때만이 가격 안정이 가능합니다.


🧾 FAQ: 빵값과 식료품 물가에 대한 궁금증

Q1. 왜 빵값이 다른 나라보다 비쌀까요?
A1. 원재료 대부분이 수입산이며, 인건비와 판매관리비 비중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급화된 소비 트렌드도 한몫합니다.

Q2. 빵값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A2. 원재료 시장과 제빵 산업의 과점을 완화하고, 농산물 수입 규제를 완화해 경쟁을 촉진해야 합니다.

Q3. 동네 빵집이 살아남을 방법은?
A3. 지역 특색을 살린 수제빵, 프리미엄 이미지 구축, 고객 충성도 확보가 대형 프랜차이즈와의 차별화 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빵값 논란, 단순한 물가 문제가 아니다

결국 빵값 상승은 국제 원자재 가격, 인건비 부담, 시장 과점, 농업 규제 등 복합적인 결과입니다.
지속 가능한 가격 구조를 만들기 위해선 정부의 합리적 규제 개혁과 자유경쟁 환경 조성이 병행돼야 합니다.
빵 한 조각의 가격 속에는 우리 경제의 구조적 현실이 그대로 녹아 있습니다.

반응형